본문 바로가기
  • 클릭 몇 번이면 충분합니다. -------------- 아이디어를 기다리게 하지 마세요. ------ 오늘 바로 만드세요.
앱 & 자동화 구축

Bubble 완벽 마스터: 초보자도 30일 만에 웹앱 만드는 A to Z 가이드

by 바이브코더 2025. 10. 13.
반응형

"개발자 없이도 Airbnb처럼 성공할 수 있을까?"

Bubble로 만들어진 서비스가 연매출 100억 원을 넘긴 사례도 있습니다. 코딩 한 줄 없이요.

"웹 앱을 만들고 싶은데 개발자를 구할 예산도 없고, 외주 맡기자니 소통도 어렵고..."

혹시 이런 고민 하고 계시나요?

  • 예비 창업가: "MVP를 빠르게 만들어서 투자 받고 싶은데, 개발자 구하는 데만 3개월 걸려요."
  • 1인 사업가: "간단한 회원제 서비스를 만들고 싶은데, 외주 견적이 3천만 원이라니..."
  • 마케터: "랜딩페이지 만들 때마다 개발팀 눈치 보기 싫어요. 내가 직접 만들 순 없을까요?"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Bubble을 사용하면 코딩 지식 제로인 상태에서도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만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결제, 데이터베이스, 외부 API 연동까지 전부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Bubble 기초부터 실전 배포까지, 30일 만에 완성하는 로드맵을 알려드립니다. 저도 비개발자로 시작해서 지금은 Bubble로 3개의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 ✅ Bubble의 핵심 개념을 완벽히 이해하고
  • ✅ 30일 커리큘럼으로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 ✅ 실전 프로젝트 3개를 직접 만들어보고
  • ✅ 첫 번째 웹 앱을 배포할 수 있습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목차

  1. Bubble이란? 5분 개념 정리
  2. Bubble vs 다른 노코드 툴 비교
  3. Bubble 가격 플랜 완벽 분석
  4. Bubble 핵심 개념 7가지
  5. 30일 학습 커리큘럼
  6. 실전 프로젝트 3가지
  7. 고급 기능 마스터하기
  8. Bubble 트러블슈팅 10가지
  9. Bubble vs 대안 툴 비교
  10. FAQ 20가지

1. Bubble이란? 5분 개념 정리 {#section1}

Bubble의 정의

Bubble은 코딩 없이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는 비주얼 프로그래밍 플랫폼입니다.

드래그 앤 드롭으로 UI를 디자인하고, 로직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면 됩니다. 마치 레고 블록을 조립하듯이요.

Bubble로 만들 수 있는 것들

거의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마켓플레이스: Airbnb, 당근마켓 같은 양면 플랫폼
  • 📱 SaaS: 프로젝트 관리 툴, CRM, 예약 시스템
  • 🎓 교육 플랫폼: 온라인 강의 사이트, 멤버십 커뮤니티
  • 💰 핀테크: 가계부, 크라우드펀딩, 송금 서비스
  • 🏥 헬스케어: 원격 진료 예약, 건강 트래킹 앱
  • 📊 내부 툴: 사내 업무 관리, 데이터 대시보드

Bubble의 핵심 강점 3가지

1. 복잡한 로직도 구현 가능

  • Webflow는 "보여주기용" 웹사이트에 강하다면
  • Bubble은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강합니다
  • 조건문, 반복문, 변수, 데이터베이스 쿼리 등 모두 지원

2. 자체 데이터베이스 내장

  • 회원 정보, 게시글, 주문 내역 등을 Bubble 안에서 관리
  • Airtable처럼 외부 툴 연동 불필요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MySQL 수준) 구현 가능

3. 확장성

  • 처음엔 MVP로 시작
  • 나중엔 수만 명이 쓰는 서비스로 성장 가능
  • 실제로 Bubble 기반 서비스 중 유니콘 기업도 있음
  •  
반응형

Bubble이 적합한 사람

이런 분들께 추천:

  • MVP를 빠르게 만들고 싶은 예비 창업가
  • 사이드 프로젝트로 수익화를 노리는 직장인
  • 개발팀 없이 제품을 만들고 싶은 1인 사업가
  • 복잡한 로직이 필요한 웹 앱을 만들려는 분

이런 분들께는 비추천:

  • 정적인 홈페이지만 필요하다면 → Webflow 추천
  • 모바일 앱(iOS/Android)을 만든다면 → Adalo, FlutterFlow 추천
  • 게임이나 AR/VR → 노코드로 한계 있음

2. Bubble vs 다른 노코드 툴 비교 {#section2}

"Webflow, Wix, Adalo... 다 비슷해 보이는데 뭐가 다른가요?"

이런 질문 많이 받습니다.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 노코드 툴 비교표

항목 Bubble Webflow Wix Adalo
주요 용도 웹 앱 (로직 중심) 웹사이트 (디자인 중심) 간단한 홈페이지 모바일 앱
데이터베이스 ⭐⭐⭐⭐⭐ 자체 DB ⭐⭐⭐ 외부 연동 필요 ⭐⭐ 제한적 ⭐⭐⭐ 자체 DB
로직 구현 ⭐⭐⭐⭐⭐ 복잡한 로직 가능 ⭐⭐ 기본만 가능 ⭐ 매우 제한적 ⭐⭐⭐ 중급 수준
디자인 자유도 ⭐⭐⭐ 중급 ⭐⭐⭐⭐⭐ 최고 ⭐⭐⭐⭐ 좋음 ⭐⭐ 템플릿 의존
학습 난이도 ⭐⭐⭐⭐ 어려움 (2-4주) ⭐⭐⭐ 보통 (1-2주) ⭐⭐ 쉬움 (2-3일) ⭐⭐⭐ 보통 (1주)
확장성 ⭐⭐⭐⭐⭐ 유니콘 가능 ⭐⭐⭐⭐ 엔터프라이즈 가능 ⭐⭐⭐ 중소기업 적합 ⭐⭐⭐ 스타트업 적합
가격 $29~$349/월 $14~$39/월 $16~$45/월 $45~$200/월
한국어 지원 ❌ 영어만 ❌ 영어만 ⭕ 한국어 일부 ❌ 영어만

언제 Bubble을 선택해야 할까?

Bubble을 선택하세요 (이런 경우):

✅ 회원가입,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 사용자마다 다른 데이터를 보여줘야 함 (대시보드, 마이페이지 등)
✅ 결제, 예약, 주문 같은 트랜잭션 기능
✅ 외부 API 연동 (예: 카카오 로그인, 포트원 결제)
✅ 조건에 따라 다르게 작동해야 함 (IF-THEN 로직)

Webflow를 선택하세요 (이런 경우):

✅ 회사 소개 홈페이지, 포트폴리오 사이트
✅ 블로그, 매거진 (CMS 중심)
✅ 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랜딩페이지
✅ 로직보다 비주얼이 핵심

Wix를 선택하세요 (이런 경우):

✅ 빠르게 간단한 홈페이지만 필요
✅ 복잡한 기능 불필요
✅ 예산이 매우 제한적 (무료~저가)

Adalo를 선택하세요 (이런 경우):

✅ iOS/Android 네이티브 앱이 필요
✅ 모바일 우선 서비스
✅ 간단한 CRUD 앱 (목록 보기, 추가, 수정, 삭제)

실전 예시: 같은 아이디어, 다른 툴

아이디어: "반려동물 돌봄 매칭 플랫폼"

  • Bubble로 만들 때:
    • 펫시터 회원가입/프로필 등록
    • 반려인이 지역/날짜로 검색
    • 실시간 채팅, 예약, 결제
    • 리뷰/평점 시스템
    • 관리자 대시보드
  • Webflow로 만들 때:
    • 서비스 소개 랜딩페이지
    • 펫시터 포트폴리오 페이지 (CMS)
    • "연락하기" 폼 (이메일 전송)
    • ❌ 회원제, 예약, 결제는 외부 툴 연동 필요

결론: 로직이 복잡하면 Bubble, 보여주기용이면 Webflow


3. Bubble 가격 플랜 완벽 분석 {#section3}

"Bubble 비싼가요?"

무료로도 시작 가능하지만, 실전 서비스는 유료 플랜이 필요합니다.

📊 Bubble 가격 플랜 상세 비교

플랜 가격 적합한 단계 주요 기능
Free $0 학습용, 프로토타입 - Bubble 브랜딩 표시
- 커스텀 도메인 불가
- 50 DB 레코드 제한
Starter $29/월 MVP, 베타 테스트 - 커스텀 도메인 연결
- Bubble 브랜딩 제거
- 200 DB 레코드
- 50GB 파일 저장
Growth $119/월 초기 런칭 (유료 고객 30명 이하) - 무제한 DB 레코드
- 백업 자동 생성
- 우선 지원
- 서버 용량 2배
Team $349/월 성장 단계 (수백 명 사용자) - 팀 협업 기능
- 개발/운영 환경 분리
- 전담 지원
- 서버 용량 4배

초보자 추천 플랜

1단계 (첫 1-2개월): Free 플랜

  • 학습하면서 프로토타입 만들기
  • 비용: $0
  • 목표: Bubble 익숙해지기

2단계 (베타 테스트): Starter 플랜

  • 실제 도메인 연결하고 지인 10명에게 테스트
  • 비용: $29/월
  • 목표: 피드백 받고 개선

3단계 (정식 런칭): Growth 플랜

  • 유료 고객 받기 시작
  • 비용: $119/월
  • 목표: 첫 매출 $500 달성 (한화 약 65만 원)

숨겨진 추가 비용

1. WU (Workload Units)

  • Bubble의 "서버 사용량" 개념
  • Growth 플랜 기준 월 175,000 WU 제공
  • 사용자 100명 정도면 충분함
  • 초과 시: 1,000 WU당 $10 추가

2. 플러그인

  • 대부분 무료
  • 일부 프리미엄 플러그인: $10~50/월
  • 예: 고급 차트, SMS 발송 등

3. 외부 서비스

  • 결제: Stripe (수수료 2.9% + $0.30)
  • 이메일 발송: SendGrid ($15~90/월)
  • 파일 저장: AWS S3 ($5~20/월)

💡 비용 절감 팁

1. 연간 결제로 25% 할인

  • Starter: $261/년 ($29 → $21.75/월)
  • Growth: $1,071/년 ($119 → $89.25/월)

2. Free 플랜 최대한 활용

  • 50개 레코드 제한 → 테스트 계정 공유해서 여러 프로젝트 돌리기
  • 브랜딩 표시 → "Beta" 표시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3. Starter로 6개월 버티기

  • 200개 레코드면 초기 고객 50명까지 충분
  • 매출 발생하면 Growth로 업그레이드

경쟁사 대비 가격 비교

초기 비용 (MVP 단계) 성장 단계 비용
Bubble $29/월 (Starter) $119/월 (Growth)
Webflow $14/월 (Basic) $39/월 (CMS)
Adalo $45/월 (Pro) $200/월 (Business)
외주 개발 2,000만 원 (초기 개발) 월 300만 원 (유지보수)

결론: Bubble은 초기 비용은 중간, 장기적으론 가장 저렴


4. Bubble 핵심 개념 7가지 {#section4}

"처음 Bubble 켰는데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

걱정 마세요. 7가지 개념만 이해하면 90%는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Element (엘리먼트)

화면에 보이는 모든 것들

  • 버튼, 텍스트, 이미지, 입력창 등
  • 드래그 앤 드롭으로 배치
  • 각 엘리먼트에 속성(Properties) 설정 가능

예시:

  • Button → 클릭하면 로그인 팝업 띄우기
  • Text → 사용자 이름 동적으로 표시
  • Input → 이메일 입력받기

2. Workflow (워크플로우)

"이 버튼을 누르면 이런 일이 일어나라"는 명령

  • 이벤트(Event) + 액션(Action)의 조합
  • 예: "로그인 버튼 클릭 → 이메일/비번 확인 → 맞으면 대시보드로 이동"

주요 이벤트:

  • When Button is clicked (버튼 클릭 시)
  • When Page is loaded (페이지 로드 시)
  • When Input's value is changed (입력값 변경 시)

주요 액션:

  • Navigate (페이지 이동)
  • Create a new thing (데이터 생성)
  • Show/Hide (요소 보이기/숨기기)

3. Data Type (데이터 타입)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개념

  • 예: User (사용자), Post (게시글), Order (주문)
  • 각 Data Type마다 Field (필드) 정의

예시: "User" 데이터 타입

  • Name (텍스트)
  • Email (텍스트)
  • Profile_image (이미지)
  • Created_date (날짜)
  • Is_premium (Yes/No)

4. Thing (띵)

Data Type의 "한 줄" (레코드)

  • User 데이터 타입의 Thing → 한 명의 사용자
  • Post 데이터 타입의 Thing → 하나의 게시글

예시:

  • User Thing: 홍길동, hong@example.com, 2025-01-15
  • Post Thing: "Bubble 배우기", "오늘 Bubble 시작했어요...", 2025-10-10

5. Current User (현재 사용자)

"지금 로그인한 사람"을 가리키는 특별한 키워드

  • Current User's Name → 로그인한 사람 이름
  • Current User's Email → 로그인한 사람 이메일
  • 동적으로 콘텐츠 표시할 때 필수

예시:

  • "안녕하세요, [Current User's Name]님!" → "안녕하세요, 홍길동님!"

6. Repeating Group (리피팅 그룹)

리스트를 보여주는 컴포넌트

  • "Data source"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반복해서 표시
  • 예: 게시글 목록, 상품 리스트, 댓글 목록

예시:

  • Repeating Group: "Do a search for Posts"
  • 각 Cell에: 제목, 작성자, 날짜, 썸네일

7. Conditional (조건부)

"만약 A라면 B를 보여줘"는 로직

  • 모든 엘리먼트에 Conditional 설정 가능
  • 예: 로그인 안 했으면 "로그인" 버튼, 로그인 했으면 "마이페이지" 버튼

예시:

When Current User is logged in → Show "My Page" button
When Current User is logged out → Show "Login" button

개념 정리 예시: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1단계: Data Type 정의

  • Post: Title (텍스트), Content (텍스트), Author (User), Date (날짜)

2단계: Element 배치

  • Input (제목 입력)
  • Input (내용 입력)
  • Button (작성 완료)
  • Repeating Group (게시글 목록)

3단계: Workflow 설정

  • Button 클릭 시 → Create a new Post
    • Title = Input 제목's value
    • Content = Input 내용's value
    • Author = Current User

4단계: Conditional 설정

  • Button → Only when Input 제목 is not empty

이 4단계만 이해하면 이미 50% 마스터한 겁니다!

 


5. 30일 학습 커리큘럼 {#section5}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요..."

제가 직접 써보고 효과적이었던 30일 커리큘럼을 공유합니다. 하루 1-2시간씩 투자하면 됩니다.

📅 Week 1: 기초 다지기 (회원가입/로그인)

Day 1-2: Bubble 설치 & 튜토리얼

  • Bubble 계정 만들기 (Free 플랜)
  • 공식 튜토리얼 "Intro Lessons" 3개 완료
  • 첫 페이지 만들고 텍스트/버튼 배치해보기

Day 3-4: 회원가입 기능 만들기

  • User 데이터 타입 확인 (기본 제공됨)
  • Signup 페이지 만들기
  • Email, Password Input 배치
  • "Sign Up" 버튼 → "Sign the user up" Workflow

Day 5-7: 로그인/로그아웃 기능

  • Login 페이지 만들기
  • "Log the user in" Workflow
  • "Log the user out" Workflow
  • Current User 기반 조건부 표시 (로그인 상태에 따라 다른 버튼 보이기)

Week 1 목표: 회원가입 → 로그인 → 마이페이지 → 로그아웃 플로우 완성


📅 Week 2: 데이터베이스 & CRUD

Day 8-10: 데이터 타입 설계

  • "Post" 데이터 타입 생성
  • Field 추가: Title (text), Content (text), Author (User), Created_date (date)
  • "Create a new Post" Workflow 만들기
  • Input으로 제목/내용 받아서 DB에 저장

Day 11-13: 데이터 읽기 (Read)

  • Repeating Group 배치
  • Data source: "Do a search for Posts"
  • Sort by Created_date (descending)
  • 각 Cell에 Title, Content, Author's Name 표시

Day 14: 데이터 수정/삭제 (Update/Delete)

  • "Edit" 버튼 → 팝업 띄우고 기존 데이터 채우기
  • "Save" → "Make changes to Post"
  • "Delete" → "Delete a thing"

Week 2 목표: 간단한 게시판 (작성, 목록, 수정, 삭제) 완성


📅 Week 3: 외부 연동 & 고급 기능

Day 15-17: 외부 API 연동

  • API Connector 플러그인 설치
  • 공개 API (예: OpenWeather) 연동
  • API Call → 데이터 화면에 표시

Day 18-20: 결제 기능 (Stripe)

  • Stripe 플러그인 설치
  • Stripe 계정 연결 (Test Mode)
  • "Buy" 버튼 → "Charge the current user"
  • 결제 완료 시 → User의 "Is_premium" 필드를 Yes로 변경

Day 21: Privacy Rules (권한 설정)

  • Data → Privacy 탭
  • "Author가 Current User일 때만 수정 가능" 규칙 설정
  • "로그인 안 하면 게시글 못 봄" 규칙 설정

Week 3 목표: API 연동 + 결제 + 권한 관리까지 경험


📅 Week 4: 반응형 & 배포

Day 22-24: 반응형 디자인

  • 모바일/태블릿 뷰 확인
  • Layout 모드로 전환
  • Column/Row 정렬 (Flexbox 개념)
  • Hide on mobile 조건 설정

Day 25-27: 실전 프로젝트 마무리

  • 전체 플로우 점검
  • 버그 수정 (에러 로그 확인)
  • 디자인 다듬기 (색상, 폰트, 간격)

Day 28-30: 배포 & 도메인 연결

  • Starter 플랜 결제 ($29/월)
  • 도메인 구매 (예: myapp.com)
  • Bubble에서 Custom domain 설정
  • 친구 3명에게 테스트 요청

Week 4 목표: 첫 번째 웹 앱을 실제 도메인으로 배포!


학습 효과를 높이는 팁 5가지

1. 영상보다 직접 만들기

  • 튜토리얼 영상은 10분만 보고
  • 나머지 50분은 직접 따라 만들기

2. 공식 문서 활용

3. 포럼 활용

4. 매일 조금씩

  • 하루 1시간 × 30일 > 주말에 10시간 × 3일
  • 꾸준함이 가장 중요

5. 실전 프로젝트 중심

  • 이론만 보지 말고 "내가 만들고 싶은 것" 만들기
  • 예: 취미 공유 커뮤니티, 독서 기록 앱, 동네 모임 플랫폼

6. 실전 프로젝트 3가지 {#section6}

"이론은 알겠는데 뭘 만들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제가 직접 만들어본 3개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난이도별로 정리했어요.

프로젝트 1: 독서 기록 앱 (난이도: ⭐⭐☆☆☆)

기능:

  • 책 제목, 저자, 평점, 메모 기록
  • 내가 읽은 책 목록 보기
  • 읽은 책 수, 평균 평점 통계

필요한 개념:

  • Data Type: Book (Title, Author, Rating, Memo, Finished_date)
  •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 Repeating Group: 책 목록 표시
  • 간단한 계산: Count of Books, Average Rating

제작 시간: 5-7시간

학습 효과:

  • Bubble 기본 구조 완벽 이해
  • 데이터베이스 CRUD 마스터
  • Repeating Group 활용

단계별 가이드:

  1. Data Type 설계 (30분)
    • Book: Title (text), Author (text), Rating (number, 1-5), Memo (text), User (User), Finished_date (date)
  2. 입력 페이지 (1시간)
    • Input: 제목, 저자, 메모
    • Dropdown: 평점 (1, 2, 3, 4, 5)
    • Date Picker: 완독일
    • Button "추가" → Create a new Book
  3. 목록 페이지 (1.5시간)
    • Repeating Group: Do a search for Books (User = Current User)
    • Sort: Finished_date (descending)
    • Cell 안에: 제목, 저자, 평점, 완독일
    • "수정" 버튼 → Popup
    • "삭제" 버튼 → Delete a thing
  4. 통계 페이지 (1시간)
    • Text: "읽은 책: [Repeating Group's Books:count]권"
    • Text: "평균 평점: [Repeating Group's Books:average Rating]점"
    • Chart 플러그인으로 월별 독서량 시각화
  5. 디자인 (1시간)
    • 색상 통일, 카드 스타일 적용
    • 모바일 반응형 조정

실전 팁:

  • Rating을 1-5 숫자로 받으면 나중에 평균 계산 쉬움
  • "검색" 기능 추가: Do a search for Books → Title contains Input's value

프로젝트 2: 예약 시스템 (난이도: ⭐⭐⭐☆☆)

기능:

  • 서비스 등록 (예: 상담, 미팅룸)
  • 날짜/시간 선택해서 예약
  • 예약 확인/취소
  • 관리자 대시보드

필요한 개념:

  • 복잡한 Data Type 관계 (Service, Booking, User)
  • Option Sets (상태: 대기, 확정, 취소)
  • Conditional (중복 예약 방지)
  • Privacy Rules (본인 예약만 수정 가능)

제작 시간: 10-15시간

학습 효과:

  • 실무 수준의 데이터 관계 설계
  • 복잡한 조건문 처리
  • 권한 관리 경험

단계별 가이드:

  1. Data Type 설계 (1시간)
  2. Service (서비스) - Name (text): 서비스 이름 - Description (text): 설명 - Duration (number): 소요 시간 (분) - Price (number): 가격 Booking (예약) - Service (Service): 예약한 서비스 - User (User): 예약자 - Date (date): 예약 날짜 - Time (text): 예약 시간 (예: "14:00") - Status (Option Set): 대기/확정/취소 - Created_date (date): 예약 생성일
  3. Option Set 생성 (30분)
    • Option Set 이름: BookingStatus
    • Options: pending, confirmed, cancelled
  4. 서비스 목록 페이지 (2시간)
    • Repeating Group: Services
    • "예약하기" 버튼 → 예약 페이지로 이동 (서비스 ID 전달)
  5. 예약 페이지 (3시간)
    • Date Picker: 예약 날짜 선택
    • Dropdown: 시간 선택 (9:00, 10:00, 11:00...)
    • 중요: Conditional로 이미 예약된 시간 비활성화
      • Do a search for Bookings → Date = Selected date AND Time = This option → Count > 0
    • "예약 완료" 버튼 → Create a new Booking
  6. 내 예약 페이지 (2시간)
    • Repeating Group: Bookings (User = Current User)
    • 각 예약: 서비스 이름, 날짜, 시간, 상태
    • "취소" 버튼 → Make changes to Booking (Status = cancelled)
  7. 관리자 대시보드 (2시간)
    • Repeating Group: All Bookings
    • Filter: Status = pending (대기 중인 예약만)
    • "확정" 버튼 → Status = confirmed
    • "취소" 버튼 → Status = cancelled
  8. Privacy Rules (1시간)
    • Booking: User = Current User일 때만 볼 수 있음
    • 예외: Admin 역할은 모두 볼 수 있음

실전 팁:

  • 시간대를 Option Set으로 만들면 관리 편함
  • 이메일 알림 추가: SendGrid 플러그인 + "Send email" Workflow
  • 카카오 알림톡: Aligo API 연동

프로젝트 3: 미니 마켓플레이스 (난이도: ⭐⭐⭐⭐☆)

기능:

  • 판매자: 상품 등록
  • 구매자: 상품 검색, 장바구니, 결제
  • 주문 관리, 배송 추적
  • 리뷰/평점

필요한 개념:

  • 복잡한 데이터 관계 (User, Product, Cart, Order, Review)
  • Stripe 결제 연동
  • 파일 업로드 (상품 이미지)
  • 검색/필터링
  • 이메일 알림

제작 시간: 20-30시간

학습 효과:

  • 실전 커머스 플랫폼 구조 이해
  • 결제 시스템 경험
  • 복잡한 워크플로우 설계

단계별 가이드:

  1. Data Type 설계 (2시간)
  2. Product (상품) - Name, Description, Price, Image, Stock - Seller (User) - Category (Option Set) Cart (장바구니) - User (User) - Product (Product) - Quantity (number) Order (주문) - User (User) - Products (list of Products) - Total_price (number) - Status (Option Set: pending, paid, shipped, delivered) - Stripe_charge_id (text) Review (리뷰) - Product (Product) - User (User) - Rating (number, 1-5) - Comment (text)
  3. 상품 등록 페이지 (3시간)
    • Input: 상품명, 설명, 가격, 재고
    • Picture Uploader: 이미지 업로드
    • Dropdown: 카테고리
    • Button → Create a new Product (Seller = Current User)
  4. 상품 목록 & 검색 (4시간)
    • Repeating Group: Products
    • Search Box: Title contains, Category =
    • Sort: Price, Created_date
    • 각 상품 클릭 → 상세 페이지
  5. 상품 상세 페이지 (3시간)
    • 상품 정보 표시
    • "장바구니 담기" 버튼 → Create Cart (또는 Quantity +1)
    • 리뷰 Repeating Group
    • 평균 평점 표시: Reviews:average Rating
  6. 장바구니 페이지 (3시간)
    • Repeating Group: Carts (User = Current User)
    • 수량 조절 (+/-) → Make changes to Cart
    • "삭제" → Delete Cart
    • 총 금액 계산: Carts:sum Price × Quantity
  7. 결제 페이지 (5시간)
    • Stripe 플러그인 설치
    • "결제하기" 버튼 → Charge the current user (Amount = Total)
    • 결제 성공 시:
      • Create Order (Products = Carts' Products)
      • Delete Carts
      • Send email (주문 확인 이메일)
    • 결제 실패 시:
      • Show alert "결제 실패"
  8. 주문 관리 (3시간)
    • 구매자: 내 주문 목록, 상태 확인
    • 판매자: 받은 주문 목록, 상태 변경
    • "배송 시작" → Status = shipped
    • "배송 완료" → Status = delivered
  9. 리뷰 기능 (2시간)
    • 주문 완료 후 "리뷰 쓰기" 버튼 표시
    • Popup → Rating (1-5), Comment
    • Create Review → Product에 연결

실전 팁:

  • 재고 관리: 주문 시 Product's Stock - Quantity
  • 환불: Stripe에서 Refund API 호출
  • 알림: 판매자에게 "새 주문" 이메일 자동 발송

프로젝트 선택 가이드

프로젝트 소요 시간 난이도 추천 대상
독서 기록 앱 5-7시간 초급 Bubble 처음 시작
예약 시스템 10-15시간 중급 30일 커리큘럼 완료
마켓플레이스 20-30시간 고급 실전 서비스 런칭 목표

내 상황에 맞는 프로젝트 고르기:

시간이 없다면: 독서 기록 앱 (빠르게 성취감)
실전 서비스 만들려면: 예약 시스템 (다양한 비즈니스 적용 가능)
포트폴리오용: 마켓플레이스 (채용 시 강점)

 


7. 고급 기능 마스터하기 {#section7}

"기초는 알겠는데 더 고급 기능은 어떻게 배우나요?"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고급 기능 5가지를 정리했습니다.

1. Custom States (커스텀 상태)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DB에 저장하지 않고, 페이지 안에서만 사용하는 변수입니다.

언제 사용?

  • 팝업 열림/닫힘 상태
  • 현재 선택된 탭
  • 임시 계산 결과

예시: 탭 전환

  1. Group에 Custom State 생성
    • State 이름: current_tab
    • Type: text
    • Default: "profile"
  2. 탭 버튼 3개 생성
    • "프로필" 버튼 → Set state current_tab = "profile"
    • "설정" 버튼 → Set state current_tab = "settings"
    • "알림" 버튼 → Set state current_tab = "notifications"
  3. 각 섹션에 Conditional 설정
    • Profile Group → This Group is visible when Parent's current_tab = "profile"
    • Settings Group → visible when current_tab = "settings"

장점:

  • DB에 불필요한 데이터 저장 안 함
  • 빠른 UI 반응 속도

2. API Workflows (백엔드 워크플로우)

서버에서 실행되는 워크플로우

사용자가 페이지를 닫아도 계속 실행됩니다.

언제 사용?

  • 대량 데이터 처리
  • 예약 작업 (매일 오전 9시 이메일 발송)
  • 외부에서 호출 (Webhook)

예시: 매일 오전 9시 알림 이메일

  1. Backend workflows 탭
  2. "Create new workflow" → Schedule API Workflow
  3. "Send daily reminder"
    • Action: Send email (to = Users' email)
    • Schedule: Recurring event (every day, 9:00 AM)

비용:

  • Growth 플랜 이상 필요
  • WU (Workload Units) 소모

3. Database Triggers (데이터베이스 트리거)

"데이터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실행"

언제 사용?

  • 주문 생성 시 자동으로 판매자에게 알림
  • 리뷰 작성 시 평균 평점 재계산
  • 회원가입 시 환영 이메일

예시: 주문 시 판매자 알림

  1. Backend workflows
  2. "When a new Order is created"
  3. Action: Send email
    • To: Order's Product's Seller's email
    • Subject: "새 주문이 들어왔습니다!"

장점:

  • 실시간 반응
  • 놓칠 일 없음

4. Privacy Rules 심화

"누가 어떤 데이터를 볼 수 있는지" 세밀하게 제어

기본 규칙:

  • Everyone else → 모든 사람
  • Current User → 로그인한 사용자
  • Specific role → 특정 역할 (Admin, Seller 등)

예시: 주문 정보 보호

Order 데이터 Privacy Rules:

규칙 1: 구매자 본인만 볼 수 있음
- When User = Current User
- View all fields: YES

규칙 2: 판매자도 볼 수 있음
- When Products:each item's Seller = Current User
- View all fields: YES

규칙 3: 관리자는 모두 볼 수 있음
- When Current User's Role = Admin
- View all fields: YES

중요:

  • Privacy Rules 없으면 모든 데이터 노출됨!
  • 반드시 설정 필수

5. Plugins (플러그인)

Bubble의 기능을 확장하는 추가 도구

필수 플러그인 10개:

  1. Stripe - 결제 (무료)
  2. Google Maps - 지도 표시 (무료)
  3. Chart.js - 차트/그래프 (무료)
  4. Rich Text Editor - 에디터 (무료)
  5. Image Uploader - 이미지 업로드 (무료)
  6. Calendar - 캘린더 (무료)
  7. PDF Conjurer - PDF 생성 (유료, $10/월)
  8. SendGrid - 이메일 발송 (무료~유료)
  9. Ionic Elements - UI 컴포넌트 (무료)
  10. API Connector - 외부 API 연동 (무료)

플러그인 설치 방법:

  1. Plugins 탭
  2. "Add plugins"
  3. 검색 → Install
  4. 설정 (API Key 등)

주의사항:

  • 플러그인 너무 많이 설치하면 속도 저하
  • 신뢰할 수 있는 제작자 확인
  • 리뷰/별점 확인

8. Bubble 트러블슈팅 10가지 {#section8}

"에러가 나는데 어떻게 해결하나요?"

제가 겪었던 대표적인 문제와 해결법입니다.

1. "This element is not visible"

증상: 만든 요소가 화면에 안 보임

원인:

  • 다른 요소에 가려짐
  • Conditional로 숨김 처리
  • Width/Height가 0

해결:

  • 요소 클릭 → "Bring to front"
  • Conditional 체크
  • Width/Height 값 확인

2. "Repeating Group is empty"

증상: 리피팅 그룹에 데이터가 안 뜸

원인:

  • Data source가 비어있음
  • Privacy Rules로 막힘
  • Current User 조건 잘못됨

해결:

  • Data source 다시 확인
  • Debugger로 데이터 확인 (Inspect → Debugger)
  • Privacy Rules 확인

3. "Workflow not firing"

증상: 버튼 눌러도 아무 일도 안 일어남

원인:

  • Conditional "Only when" 조건 불충족
  • 워크플로우 순서 꼬임
  • Element not clickable (다른 요소가 덮음)

해결:

  • "Only when" 제거하고 테스트
  • Step-by-step debugger 사용
  • Element 순서 조정

4. "Bubble is slow"

증상: 페이지 로딩이 너무 느림

원인:

  • 이미지 파일 너무 큼
  • 플러그인 너무 많음
  • 복잡한 검색 쿼리

해결:

  • 이미지 압축 (TinyPNG)
  • 불필요한 플러그인 제거
  • "Do a search for" → "Search for" 최적화

5. "Data not saving"

증상: 데이터 저장 안 됨

원인:

  • Workflow에서 "Create" 대신 "Display data" 실행
  • Field 타입 불일치
  • Privacy Rules로 Create 막힘

해결:

  • Workflow 다시 확인
  • Field 타입 체크 (text vs number)
  • Privacy Rules "Create" 권한 확인

6. "Payment failed"

증상: Stripe 결제 실패

원인:

  • Test mode 키 사용 중 실제 카드 사용
  • Live mode 키 사용 중 테스트 카드 사용
  • 금액이 0 이하

해결:

  • Test mode: 4242 4242 4242 4242 사용
  • Live mode: 실제 카드 사용
  • Amount 값 확인 (양수, 정수)

7. "Custom domain not working"

증상: 도메인 연결했는데 접속 안 됨

원인:

  • DNS 설정 잘못됨
  • SSL 인증서 발급 대기 중

해결:

  • A Record: 75.2.70.75
  • CNAME: proxy-ssl.webflow.com
  • 24-48시간 대기 (DNS 전파)

8. "API call returns error"

증상: API 연동 시 에러

원인:

  • API Key 잘못 입력
  • Endpoint URL 오타
  • Header/Body 형식 오류

해결:

  • Postman으로 먼저 테스트
  • API 문서 꼼꼼히 확인
  • Error 메시지 읽기

9. "Out of capacity"

증상: "Your app is over capacity" 메시지

원인:

  • WU (Workload Units) 초과
  • 너무 많은 사용자가 동시 접속

해결:

  • 단기: 플랜 업그레이드
  • 장기: 워크플로우 최적화 (불필요한 Search 줄이기)

10. "Lost all my data"

증상: 데이터가 사라짐

원인:

  • 실수로 "Delete all" 실행
  • Dev/Live 환경 혼동

해결:

  • 예방: Settings → Backups → Auto-backup 설정
  • 복구: Backups에서 Restore (Growth 플랜 이상)

중요: Free/Starter 플랜은 자동 백업 없음! 수동으로 Export CSV 백업 권장


디버깅 팁 3가지

1. Debugger 활용

  • Preview 모드 → 우클릭 → Inspect
  • Step-by-step 모드로 워크플로우 실행 추적
  • Current User, Custom States 값 실시간 확인

2. Issue Checker 확인

  • 좌측 하단 경고 아이콘
  • "Missing data source", "Element not visible" 등 경고 표시

3. Bubble Forum 검색

  • 99% 문제는 누군가 겪음
  • "Error message + Bubble" 구글 검색

 


9. Bubble vs 대안 툴 심화 비교 {#section9}

"Bubble 말고 다른 선택지는 없나요?"

상황에 따라 다른 툴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 상황별 최적 툴

상황 추천 툴 이유
정적 홈페이지 Webflow 디자인 자유도 높음, 빠름
모바일 앱 (iOS/Android) FlutterFlow, Adalo 네이티브 앱 빌드 가능
간단한 CRUD 앱 Airtable + Softr 빠르고 저렴
복잡한 웹 앱 Bubble 로직 구현 최강
내부 업무 툴 Retool 기업용 기능 풍부
AI 기반 앱 Bubble + OpenAI API API 연동 유연함

Bubble vs FlutterFlow

FlutterFlow 장점:

  • iOS/Android 네이티브 앱 빌드
  • 모바일 UI/UX 최적화
  • 앱스토어 배포 가능

Bubble 장점:

  • 웹 앱에 더 강함
  • 복잡한 로직 구현 쉬움
  • 커뮤니티/리소스 풍부

결론: 모바일 우선이면 FlutterFlow, 웹 우선이면 Bubble


Bubble vs Webflow

Webflow 장점:

  • 디자인 자유도 최고
  • SEO 최적화 쉬움
  • 빠른 로딩 속도

Bubble 장점:

  • 로그인, DB, 로직 구현 쉬움
  • SaaS/플랫폼에 최적화

결론: 보여주기용 사이트는 Webflow, 작동하는 앱은 Bubble


Bubble vs 직접 코딩

직접 코딩 장점:

  • 100% 커스터마이징
  • 성능 최적화 가능
  • 플랫폼 종속 없음

Bubble 장점:

  • 개발 속도 10배 빠름
  • 유지보수 쉬움
  • 비용 1/10

결론:

  • MVP 단계: Bubble로 빠르게
  • 시리즈 A 이후: 필요한 부분만 직접 코딩으로 전환

10. FAQ 20가지 {#section10}

기초 질문

Q1. Bubble 완전 무료로 사용 가능한가요?
A. 학습/프로토타입은 무료, 실제 서비스는 Starter ($29/월) 이상 필요합니다.

Q2. Bubble로 모바일 앱도 만들 수 있나요?
A. 모바일 "웹앱"은 가능, iOS/Android 네이티브 앱은 불가능합니다. 모바일 앱은 FlutterFlow 추천.

Q3. 코딩을 전혀 몰라도 되나요?
A. 네, 하지만 논리적 사고력은 필요합니다. "IF-THEN" 같은 로직 이해 필수.

Q4. 얼마나 배워야 첫 앱을 만들 수 있나요?
A. 간단한 앱: 1-2주, 실전 수준: 1개월, 고급 기능: 3개월

Q5. Bubble로 만든 앱 예시가 있나요?
A. Comet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연매출 $1M), Qoins (저축 앱, 투자 $2M), Teal (커리어 플랫폼, 투자 $5M)


기술 질문

Q6. Bubble의 최대 사용자 수 제한이 있나요?
A. 플랜별 제한 없음, 다만 WU (서버 용량) 초과 시 추가 비용 발생

Q7. Bubble로 만든 앱의 속도는 어떤가요?
A. 최적화 잘하면 일반 웹사이트와 비슷, 복잡한 쿼리 많으면 느릴 수 있음

Q8. SEO가 가능한가요?
A. 가능하지만 Webflow보다 약함. SEO 중요하면 Webflow 추천.

Q9. 데이터베이스 용량 제한은?
A. Free: 50 레코드, Starter: 200, Growth 이상: 무제한

Q10. Bubble 밖으로 데이터 추출 가능한가요?
A. 가능 (CSV Export), 백업용으로 주기적으로 추출 권장


고급 질문

Q11. Bubble에서 AI 기능 넣을 수 있나요?
A. 가능! OpenAI API 연동해서 ChatGPT 기능 추가 가능

Q12. 다국어 지원 가능한가요?
A. 가능, Option Set으로 언어 관리 + Conditional로 텍스트 전환

Q13. Bubble로 만든 앱을 나중에 코드로 전환 가능한가요?
A. Bubble 코드 추출은 불가능. 처음부터 다시 개발해야 함. 하지만 Bubble로 검증 후 재개발하는 경우 많음.

Q14. 팀 협업이 가능한가요?
A. Team 플랜 ($349/월) 이상에서 가능. 여러 명이 동시에 편집 가능.

Q15. Bubble 앱을 판매할 수 있나요?
A. 가능! 템플릿 판매 또는 완성된 앱을 통째로 양도 가능.


비용 질문

Q16. 초기 비용이 총 얼마나 드나요?
A. 최소 구성: Bubble Starter ($29) + 도메인 ($15/년) = 약 월 3만 원

Q17. 수익이 나기 전까지 무료로 버틸 수 있나요?
A. Free 플랜으로 MVP 제작 후, 사전 판매로 첫 고객 확보 → 수익으로 Starter 결제 가능

Q18. WU 추가 비용은 얼마나 나올까요?
A. Growth 플랜 기준 월 175,000 WU 제공. 사용자 100명 기준 충분, 초과 시 1,000 WU당 $10

Q19. 결제 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
A. Stripe: 2.9% + $0.30 per transaction (한국: 3.1% + 35원)

Q20. Bubble이 망하면 내 서비스는 어떻게 되나요?
A. Bubble은 VC 투자 받은 안정적 기업. 만약을 대비해 정기적으로 데이터 백업 권장.


결론: 오늘부터 시작하세요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이제 시작할 준비가 되셨습니다.

핵심만 다시 정리하면:

✅ Bubble은 코딩 없이 복잡한 웹 앱을 만드는 최강 도구
✅ 30일 커리큘럼으로 체계적으로 배우면 충분히 마스터 가능
✅ 실전 프로젝트 3개로 포트폴리오 완성
✅ 초기 비용 월 3만 원으로 시작 가능

"그래도 어렵게 느껴져요..."

괜찮습니다. 저도 처음엔 Bubble 화면 보고 멘붕 왔습니다. 하지만 하루 1시간씩 30일 투자하니 첫 앱을 만들 수 있었고, 지금은 3개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1년 뒤에도 "언젠가 만들어야지..."라고 말하고 있을 겁니다.

🚀 오늘 할 3가지

  1. Bubble 계정 만들기 (5분)
  2. 공식 튜토리얼 1개 완료 (30분)
    • Intro Lessons → Lesson 1 완료
  3. 첫 페이지 만들기 (30분)
    • "New app" → 이름 짓기
    • Text, Button 배치해보기
    • Preview 클릭해서 확인

이 3가지만 하면 Bubble의 50%는 이해한 겁니다.


📚 추가 학습 리소스

공식 자료:

한국어 커뮤니티:

  • 노코드 코리아 (카카오톡 오픈채팅)
  • Bubble 한국 사용자 모임 (페이스북 그룹)

유튜브 채널 (영어):

  • Bubble Official Channel
  • NoCode MBA
  • Building with Bubble

💬 마지막 조언

1. 완벽주의 버리기
첫 앱은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80% 완성도로 빠르게 런칭하고, 피드백 받으면서 개선하세요.

2. 커뮤니티 활용하기
막히면 Forum에 질문하세요. Bubble 커뮤니티는 매우 친절합니다. 영어 부담스러우면 한국 커뮤니티도 있어요.

3. 작게 시작하기
"Airbnb 같은 거 만들어야지!"보다는 "친구 5명이 쓸 간단한 앱"부터 시작하세요. 작은 성공이 동기부여됩니다.

4. 수익화 먼저 생각하기
무료로 만들어서 사용자 1만 명 모으는 것보다, 유료로 10명한테 파는 게 더 쉽습니다. 처음부터 결제 기능 넣으세요.

5. 포기하지 않기
2주차에 가장 많이 포기합니다. "이거 너무 어려운데?" 싶을 때가 성장 직전입니다. 버티세요!


다음 단계

이 가이드로 Bubble 기초를 다졌다면, 이제 실전입니다.

추천 학습 순서:

  1. 이 글의 30일 커리큘럼 따라하기 (1개월)
  2. 실전 프로젝트 1개 완성 (2주)
  3. 베타 테스트 런칭 (지인 10명)
  4. 피드백 반영해서 개선 (2주)
  5. 정식 런칭 & 마케팅 시작 (계속)

관련 글:


체크리스트: Bubble 마스터 로드맵

Month 1: 기초 다지기

  • Bubble 계정 생성
  • 공식 튜토리얼 3개 완료
  • 회원가입/로그인 기능 구현
  • 간단한 CRUD 앱 완성 (독서 기록 앱)
  • Data Type, Workflow 개념 완벽 이해

Month 2: 실전 프로젝트

  • 예약 시스템 또는 마켓플레이스 시작
  • 외부 API 연동 (1개 이상)
  • Stripe 결제 연동
  • Privacy Rules 설정
  • 반응형 디자인 적용

Month 3: 런칭 & 성장

  • Starter 플랜 결제
  • 커스텀 도메인 연결
  • 베타 테스트 (10명)
  • 피드백 반영
  • 정식 런칭
  • 첫 유료 고객 확보

Month 4+: 고급 & 최적화

  • Backend Workflows 활용
  • Custom States 마스터
  • Database Triggers 설정
  • 성능 최적화 (WU 절감)
  • 고급 플러그인 활용

자주 하는 실수 & 해결법

실수 1: 너무 복잡하게 시작
❌ "Netflix 같은 거 만들어야지!"
✅ "영화 리뷰 기록 앱부터"

실수 2: 디자인에 너무 집착
❌ 1주일 동안 버튼 색상 고민
✅ 기본 디자인으로 기능 완성 후 다듬기

실수 3: 튜토리얼만 무한 반복
❌ 10개 강의 듣고 아무것도 안 만듦
✅ 1개 강의 + 바로 따라 만들기

실수 4: 혼자 끙끙대기
❌ 3일 동안 같은 에러로 고생
✅ Forum에 질문하면 1시간 내 답변

실수 5: Free 플랜에서 완벽하게 만들려고
❌ Free 플랜에서 6개월 개발
✅ 80% 완성되면 Starter로 업그레이드 후 런칭


성공 사례: Bubble로 만든 실제 서비스

1. Comet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 창업자: 비개발자 1인
  • Bubble로 개발: 3개월
  • 현재: 연매출 $1M (약 13억 원)
  • 전환 여부: Bubble 그대로 운영

2. Qoins (자동 저축 앱)

  • 창업자: 금융업 비전공자
  • Bubble로 MVP: 2개월
  • 투자 유치: Seed $2M
  • 전환 여부: 시리즈 A 후 일부 코드로 전환

3. Teal (커리어 코칭 플랫폼)

  • 창업자: 전직 LinkedIn 마케터
  • Bubble로 개발: 1개월
  • 투자 유치: Seed $5M
  • 사용자: 50만 명+
  • 전환 여부: Bubble 그대로 운영

공통점:
✅ 모두 비개발자 창업
✅ MVP를 3개월 이내 런칭
✅ Bubble로 투자 유치 성공
✅ 일부는 Bubble 그대로 유니콘 성장


마치며

"아이디어는 있는데 개발자가 없어요."

이제 더 이상 핑계가 아닙니다. Bubble이 있으니까요.

코딩을 배우는 데 2년 걸립니다. Bubble은 30일이면 충분합니다.

30일 후, 당신은:

  • ✅ 첫 번째 웹 앱을 완성하고
  • ✅ 실제 도메인으로 배포하고
  • ✅ 첫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고 있을 겁니다

시작이 반입니다. 오늘 Bubble 계정을 만드세요.

그리고 30일 후에 다시 이 글을 읽어보세요. "이게 이렇게 쉬운 거였구나" 싶을 겁니다.

당신의 아이디어가 세상에 나오길 기다립니다. 화이팅!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