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클릭 몇 번이면 충분합니다. -------------- 아이디어를 기다리게 하지 마세요. ------ 오늘 바로 만드세요.
노코드 시작하기

노코드 창업 완벽 로드맵: 아이디어부터 첫 고객까지 90일 계획

by 바이브코더 2025. 10. 6.
반응형

"개발자 없이도 창업할 수 있다는 건, 이제 상식입니다."
코딩 한 줄 몰라도 90일 만에 첫 매출을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이런 고민 있으시죠?

✓ 아이디어는 있는데 개발자를 구할 돈이 없다
✓ 외주 맡기면 수천만원, 직접 배우면 몇 년 걸린다
✓ 빠르게 검증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다
✓ "코딩 못 하면 창업 못 한다"는 말이 두렵다

이 모든 걱정, 이제 끝입니다.

2025년 현재, 노코드 툴로 창업해서 연매출 10억을 넘긴 사람들이 수백 명입니다. 코드 한 줄 안 쓰고 투자 받은 스타트업도 수십 개입니다.

전통적인 창업 방식은 이렇습니다:

  • 개발팀 구성 (인건비 월 1,000만원)
  • 6개월 개발
  • 출시 후 시장 반응 확인
  • 실패율 90%, 손실 최소 3,000만원

노코드 창업은 완전히 다릅니다:

  • 혼자 또는 최소 인원
  • 2주 만에 MVP 완성
  • 실제 고객 피드백 즉시 반영
  • 실패해도 손실 50만원 이내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 ✅ 90일 안에 첫 고객을 확보하는 구체적인 플랜을 얻습니다
  • ✅ 단계별로 어떤 툴을 써야 하는지 알게 됩니다
  • ✅ 실제 성공 사례와 예산 계획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오늘 당장" 시작할 수 있는 3가지 액션을 갖게 됩니다

예상 소요 시간: 읽기 15분 + 실행 90일


1. 노코드 창업이란? 5분 개념 정리

노코드 창업의 정의

노코드 창업이란 코딩 없이 노코드/로우코드 툴을 사용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수익화하는 것입니다.

전통 창업과의 핵심 차이:

방식 전통 창업 노코드 창업
순서 아이디어 → 개발 → 출시 아이디어 → 검증 → 작게 시작 → 확장
속도 6개월~1년 2주~2개월
리스크 만들고 나서 확인 만들기 전에 확인
비용 3,000만원~ 50만원~

핵심은 "검증 우선"입니다. 만들기 전에 고객이 정말 원하는지부터 확인합니다.

왜 지금 노코드 창업인가?

데이터로 보는 노코드 트렌드:

2025년 노코드 시장 규모: 467억 달러 (전년 대비 23% 성장)

실제 성공 사례:

  • Comet (Bubble로 제작): 연매출 100만 달러, 비개발자 1인 창업
  • Dividend Finance (Webflow): 기업가치 1조원, 유니콘 달성
  • Teal (노코드 플랫폼): 시리즈 A 50억 투자 유치

노코드 창업의 장점 4가지

1. 낮은 진입장벽
코딩 지식 불필요. 드래그&드롭으로 제작. 유튜브 튜토리얼만으로 학습 가능.

2. 빠른 검증
아이디어 → MVP 제작 2주. 시장 반응 즉시 확인. 빠른 피봇 가능.

3. 저렴한 비용
초기 투자 50만원 이내. 실패해도 손실 적음.

4. 혼자서도 가능
개발팀 없이 1인 창업. 필요한 것만 외주. 모든 걸 직접 컨트롤.

노코드로 만들 수 있는 것들

카테고리 예시 추천 툴
SaaS 프로젝트 관리, CRM, 예약 시스템 Bubble, Adalo
커머스 쇼핑몰, 디지털 상품 판매 Shopify, Gumroad
커뮤니티 회원제 사이트, 온라인 강의 Circle, Kajabi
마켓플레이스 중고거래, 프리랜서 플랫폼 Sharetribe, Bubble
내부 툴 사내 업무 자동화, 대시보드 Airtable, Retool

대부분의 비즈니스 아이디어는 노코드로 충분히 가능합니다.

 

반응형

2. Phase 1 (1~30일): 아이디어 검증 - "만들기 전에 검증하라"

목표: 고객이 돈 낼 만한 아이디어인지 확인하기
투자 시간: 일 2시간
예상 비용: 10만원 이내

대부분의 창업 실패 이유는 "아무도 원하지 않는 걸 만들어서"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한 줄의 코드도 쓰지 않고, 고객이 정말 원하는지부터 확인합니다.

Week 1 (1~7일): 문제 발견 & 타겟 고객 정의

Step 1-1: 해결하고 싶은 문제 찾기

시작점: "내가 겪은 불편함"

가장 성공한 스타트업들은 대부분 창업자 본인의 문제에서 시작했습니다.

질문 리스트:

  1. 최근 1년간 가장 불편했던 일은?
  2. 주변 사람들이 자주 하는 불평은?
  3. 내가 월 5만원 내고라도 해결하고 싶은 문제는?
  4. 현재 수동으로 하는 일 중 자동화하고 싶은 건?

좋은 문제의 기준:

  • ✅ 자주 발생함 (일주일에 최소 3번)
  • ✅ 해결에 시간/돈이 많이 듦
  • ✅ 기존 솔루션이 불편함
  • ❌ 1년에 한 번 있는 일
  • ❌ 5분이면 해결되는 일

예시:

  • ❌ "가끔 엑셀이 느려서 불편하다" (너무 일반적)
  • ✅ "SNS 콘텐츠 일정 관리가 너무 복잡하다" (구체적)

Step 1-2: 타겟 고객 구체화

페르소나 템플릿:

이름: 마케터 원재
나이: 28세
직업: 중소기업 마케팅 담당자
회사 규모: 직원 30명

불편한 점:
- SNS 5개 계정 관리 (인스타, 페북, 링크드인, 블로그, 유튜브)
- 매일 30분씩 각 플랫폼 로그인해서 수동 포스팅
- 일정 관리는 엑셀로, 실수로 놓치면 큰일

현재 해결법:
- 엑셀 스프레드시트 + 캘린더 알람
- 일 1시간 소비

지불 의향:
- 월 2~3만원까지는 OK
- 시간 절약되면 5만원도 가능

가장 원하는 것:
- 한 번에 예약 발행
- 자동 게시
- 캘린더 뷰로 한눈에 보기

중요: 나이, 직업만 아는 게 아니라 "진짜 고통"을 이해해야 합니다.

Step 1-3: 경쟁자 조사 (30분)

Google 검색:

  • "[문제] 해결 툴"
  • "[문제] 솔루션"
  • "[문제] 자동화"

발견한 경쟁자 3~5개 리스트업:

경쟁사 장점 단점 가격
Buffer 많은 SNS 지원 비쌈, 복잡함 $15/월
Later 예쁜 UI 인스타 중심 $18/월
Hootsuite 강력한 기능 배우기 어려움 $49/월

차별화 포인트 찾기:

  • 더 저렴하게? (가격 경쟁)
  • 더 쉽게? (UX 경쟁)
  • 특정 니치 타겟? (세분화 전략)

Week 1 체크리스트:

  • 해결하고 싶은 문제 1가지 명확히 정의
  • 타겟 고객 페르소나 작성 완료
  • 경쟁자 3개 이상 조사 & 분석

Week 2 (8~14일): 고객 인터뷰 & 니즈 검증

Step 2-1: 인터뷰 대상 찾기 (최소 5명)

어디서 찾나요?

  • 주변 지인 중 타겟 고객과 유사한 사람
  • 페이스북 관련 그룹 (예: "마케터 모임")
  • 오픈 카톡방
  • 링크드인 DM
  • 트위터/X 검색

팁: "커피 한 잔 사드릴게요" 보다 "10분만 의견 들려주세요"가 더 효과적입니다.

Step 2-2: 인터뷰 질문 템플릿 (10분 완성)

안녕하세요! 10분만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Q1. "[문제] 때문에 불편하신 적 있나요?"
→ 공감 확인

Q2. "현재는 어떻게 해결하고 계신가요?"
→ 기존 솔루션, 워크어라운드 파악

Q3. "만약 [해결책]이 있다면 사용하시겠어요?"
→ 니즈 검증

Q4. "한 달에 얼마까지 지불 의향 있으신가요?"
→ 가격 감도 측정

Q5. "어떤 기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세요?"
→ MVP 우선순위 파악

감사합니다! 제품 나오면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인터뷰 시 주의사항:

  • ❌ "이런 기능 있으면 좋겠죠?" (유도 질문)
  • ✅ "지금 가장 불편한 게 뭔가요?" (열린 질문)

Step 2-3: 인터뷰 결과 정리

검증 기준:

반응 의미 다음 액션
5명 중 3명 이상 "필요해요!" ✅ 진행 Phase 계속
5명 중 2명만 긍정 ⚠️ 재검토 타겟 변경 or 피봇
5명 모두 "별로..." ❌ 중단 다른 아이디어

추가 시그널:

  • ✅ "언제 나와요?" "지금 당장 쓰고 싶은데!"
  • ✅ "무료 베타 테스터 하고 싶어요"
  • ❌ "무료면 써볼게요" (지불 의향 없음)
  • ❌ "그런 거 필요한가요?" (문제 공감 X)

Week 2 체크리스트:

  • 타겟 고객 5명 이상 인터뷰 완료
  • 니즈 검증 완료 (60% 이상 긍정 반응)
  • 핵심 기능 3가지 도출

Week 3 (15~21일): 랜딩페이지 제작 & 사전 판매

Step 3-1: 노코드 랜딩페이지 만들기 (3시간)

추천 툴:

  • Carrd (무료~$19/년) - 가장 간단
  • Webflow ($0~$23/월) - 디자인 자유도 높음
  • Framer ($0~$20/월) - 인터랙션 풍부

필수 구성요소:

  1. 헤드라인 (가장 중요!)
    • 형식: "[타겟]을 위한 [결과]를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
    • 예: "바쁜 마케터를 위한 SNS 일정 관리, 클릭 3번이면 끝"
  2. 문제 제시
    • "이런 고민 있으시죠?"
    • 불편한 점 3가지 나열
  3. 솔루션 소개
    • "우리 제품은 이렇게 해결합니다"
    • 스크린샷 또는 목업 이미지
  4. 핵심 기능 3가지
    • 아이콘 + 간단한 설명
  5. CTA (Call To Action)
    • "사전 신청하기" 버튼
    • 이메일 수집 폼

Step 3-2: 사전 판매 시도

전략: "얼리버드 할인"

  • "출시 전 신청하면 50% 할인"
  • "첫 100명 한정"
  • "런칭 즉시 우선 사용 가능"

목표: 10~20명 사전 신청자 확보

홍보 채널:

채널 방법 예상 전환
페이스북 그룹 3~5개 관련 그룹에 포스팅 5~10명
오픈카톡 타겟 독자 있는 방 2~5명
링크드인 개인 프로필 포스팅 3~7명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활용 1~3명

Step 3-3: 트래픽 & 전환율 분석

Google Analytics 설치 (10분)

체크할 지표:

지표 목표 의미
방문자 수 100명+ 도달 범위
평균 체류 시간 1분+ 관심도
이탈률 70% 이하 콘텐츠 품질
전환율 3~5% 니즈 강도

계산 예:

  • 방문자 100명 → 신청 5명 = 전환율 5% ✅
  • 방문자 100명 → 신청 1명 = 전환율 1% ⚠️

Week 3 체크리스트:

  • 랜딩페이지 제작 완료
  • 사전 신청자 10명 이상 확보
  • Google Analytics 설치 & 데이터 수집 시작


Week 4 (22~30일): 데이터 분석 & GO/NO-GO 결정

Step 4-1: 검증 지표 최종 확인

지표 목표 실제 달성 여부
인터뷰 긍정 비율 60% 이상 ___%
사전 신청자 수 10명 이상 ___명
랜딩페이지 전환율 3% 이상 ___%

Step 4-2: GO/NO-GO 의사결정

GO (제작 진행) 기준:

  • ✅ 3가지 지표 중 2가지 이상 달성
  • ✅ 신청자가 "언제 나오나요?" 재촉
  • ✅ 경쟁자 대비 명확한 차별점 있음

NO-GO (피봇 또는 중단) 기준:

  • ❌ 모든 지표 미달
  • ❌ "무료면 쓸게요" 반응 다수
  • ❌ 시장이 너무 작거나 경쟁 과포화

Step 4-3: 피봇 전략 (NO-GO 시)

피봇 옵션 3가지:

  1. 타겟 변경: B2C → B2B로 전환
  2. 솔루션 변경: 앱 → 자동화 툴
  3. 완전히 다른 아이디어: 새로 시작

중요: 실패가 아닙니다. 만들기 전에 발견한 건 성공입니다.

Phase 1 완료 체크리스트:

  • 명확한 문제 & 타겟 고객 정의 완료
  • 5명 이상 인터뷰 & 니즈 검증 완료
  • 랜딩페이지 & 사전 판매 완료
  • GO/NO-GO 의사결정 완료

3. Phase 2 (31~60일): MVP 제작 -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목표: 핵심 기능만 담은 최소 기능 제품 만들기
투자 시간: 일 3~4시간
예상 비용: 30만원 이내

MVP = 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완벽한 100개 기능"보다 "작동하는 3개 기능"이 낫습니다.

Week 5 (31~37일): MVP 기획 & 툴 스택 선정

Step 5-1: MVP 핵심 기능 정의 (80/20 법칙)

Must-have (반드시 있어야 함) - 3개만!

  • 이게 없으면 제품이 아님
  • 고객 인터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것

Nice-to-have (있으면 좋음) - 5개

  • 경쟁력 있지만 나중에 추가 가능

Future (나중에) - 무한대

  • 좋은 아이디어지만 우선순위 낮음

예시 (SNS 관리 툴):

Must-have:
1. 게시글 작성 에디터
2. 예약 발행 기능
3. 여러 SNS 계정 연결

Nice-to-have:
1. 분석 대시보드
2. 해시태그 자동 추천
3. 이미지 편집
4. 팀 협업
5. 모바일 앱

Future:
- AI 자동 작성
- 광고 캠페인 관리
- 경쟁사 분석

Step 5-2: 노코드 툴 스택 선정

제품 유형별 추천 조합:

제품 유형 프론트엔드 백엔드/DB 결제 월 비용
웹 앱 (SaaS) Bubble Bubble 내장 Stripe ~7만원
모바일 앱 Adalo Xano Stripe ~10만원
커머스 Shopify Shopify Shopify ~8만원
커뮤니티 Circle Circle Stripe ~6만원
마켓플레이스 Bubble Airtable Stripe ~7만원

초보자 추천 스택 (범용):

  • 프론트: Bubble (무료~$32/월)
  • DB: Bubble 내장 또는 Airtable
  • 결제: Stripe (수수료제)
  • 이메일: SendGrid (무료 100통/일)

Step 5-3: 정보 설계 & 와이어프레임

Figma 무료로 간단한 화면 설계 (30분~1시간)

필수 화면 (최소 구성):

  1. 회원가입/로그인
  2. 메인 대시보드
  3. 핵심 기능 화면 1개
  4. 설정 페이지

Week 5 체크리스트:

  • MVP 핵심 기능 3가지 선정 완료
  • 툴 스택 결정 & 계정 가입
  • 와이어프레임 완성

Week 6-7 (38~51일): 프론트엔드 & 백엔드 제작

Bubble 기본 세팅

Day 1: 튜토리얼 (2시간)

  • Bubble Academy 영상 시청

Day 2-3: 디자인 시스템

  • 컬러 팔레트 설정
  • 폰트 설정
  • 버튼 스타일 (재사용 요소)

핵심 화면 구현

Day 4: 회원가입/로그인

  • Bubble 기본 템플릿 활용
  • 이메일 + 비밀번호 인증

Day 5-6: 메인 화면

  • 데이터 입력 폼
  • 리스트 보기 (Repeating Group)
  • 기본 CRUD 버튼

Day 7: 설정 페이지

  • 프로필 수정
  • 계정 설정

데이터베이스 설계

기본 테이블 구조:

Users (사용자)
- email, password, name

Projects (프로젝트)
- title, description, owner

Tasks (작업)
- title, status, project

CRUD 기능 구현

  • Create: 생성 버튼 + 폼
  • Read: Repeating Group 리스트
  • Update: 편집 버튼 + 폼
  • Delete: 삭제 버튼 + 확인 팝업

Week 6-7 체크리스트:

  • 회원가입/로그인 완성
  • 메인 기능 화면 완성
  • DB 테이블 생성
  • CRUD 모두 작동

Week 8 (52~60일): 외부 연동 & 결제

필수 외부 서비스 연동

이메일 발송:

  • SendGrid (무료 100통/일)

소셜 로그인:

  • Google OAuth

분석:

  • Google Analytics 4

결제 시스템 연동

추천 PG:

  • 해외: Stripe (수수료 2.9% + $0.30)
  • 국내: 토스페이먼츠

구독 모델 설정:

무료: 14일 체험
Basic: 월 9,900원
Pro: 월 29,900원

MVP 베타 테스트

테스터: 본인 + 지인 5명

체크리스트:

  • 회원가입 → 로그인 정상
  • 핵심 기능 모두 사용 가능
  • 모바일 정상 작동
  • 결제 프로세스 완료
  • 주요 버그 수정

Phase 2 완료 체크리스트:

  • MVP 제작 완료
  • 결제 연동
  • 5명 베타 테스트
  • 주요 버그 수정

4. Phase 3 (61~90일): 런칭 & 첫 고객 확보

목표: 실제 고객 10명 & 첫 매출
투자 시간: 일 4시간

예상 비용: 20만원 (광고비)

Week 9 (61~67일): 소프트 런칭

Step 9-1: 런칭 준비

런칭 페이지 요소:

  1. 매력적인 제목
  2. 데모 영상 (1분, Loom으로 녹화)
  3. 스크린샷 3~5장
  4. 얼리 어답터 혜택: "첫 100명 50% 할인"

Step 9-2: 초기 사용자 모집 (30명 목표)

채널별 전략:

  • Phase 1 사전 신청자 → 개별 이메일 발송
  • 관련 커뮤니티 3곳에 런칭 소식 공유
  • 링크드인, 페이스북 개인 프로필에 포스팅
  • Product Hunt, BetaList 등록 (해외 타겟 시)

Step 9-3: 온보딩 & 피드백 수집

온보딩 플로우:

  1. 환영 이메일 (사용 가이드 링크)
  2. 첫 로그인 시 튜토리얼 (3단계 이내)
  3. 핵심 기능 1개 완료 유도

피드백 수집 방법:

  • Typeform 설문 (5분 이내)
  • 1:1 화상 인터뷰 (30분, 5명)
  • 앱 내 피드백 버튼

Week 9 체크리스트:

  • 런칭 페이지 & 데모 영상 제작
  • 초기 사용자 30명 확보
  • 피드백 10건 이상 수집

Week 10 (68~74일): 빠른 개선 & Iteration

Step 10-1: 피드백 우선순위 분류

긴급 (이번 주): 버그, 사용 불가 기능
중요 (다음 주): 자주 요청되는 기능
나중에: 1~2명만 원하는 기능

Step 10-2: 주간 업데이트 사이클

  • 월요일: 피드백 분석 & 개선 계획
  • 화~목: 개발 & 수정
  • 금요일: 업데이트 배포 & 변경사항 공지
  • 토~일: 사용자 반응 모니터링

Step 10-3: 핵심 지표 추적 (주간 단위)

지표 Week 9 Week 10 목표
활성 사용자 수 30명 50명 100명
일평균 사용 시간 - - 10분+
주간 재방문율 - - 40%+
유료 전환율 0% 5% 10%

Week 10 체크리스트:

  • 긴급 버그 모두 수정
  • 주요 기능 1~2개 개선
  • 주간 업데이트 노트 발행

Week 11 (75~81일): 유료 전환 & 첫 매출

Step 11-1: 가격 정책 최종 확정

가격 테스트 전략 (A/B Test):

  • 그룹 A: 월 9,900원
  • 그룹 B: 월 14,900원
  • 그룹 C: 월 19,900원
  • → 전환율 높은 가격 채택

Step 11-2: 무료 → 유료 전환 전략

제한 설정:

  • 무료: 프로젝트 3개, 기본 기능만
  • 유료: 무제한, 고급 기능, 우선 지원

전환 유도 장치:

  • 무료 기능 제한 도달 시 업그레이드 배너
  • 유료 기능 미리보기 (잠금 아이콘)
  • "첫 달 50% 할인" 프로모션

Step 11-3: 첫 유료 고객 확보 전략

개인화 접근:

  • 활발한 사용자 5명에게 개별 이메일
  • "당신처럼 적극적으로 쓰시는 분께 특별 할인"
  • 1:1 온보딩 세션 제공

목표: 최소 3명 유료 전환

Week 11 체크리스트:

  • 가격 정책 확정
  • 유료 플랜 기능 차별화
  • 첫 유료 고객 3명 확보

Week 12 (82~90일): 확장 준비 & 회고

Step 12-1: 90일 성과 정리

항목 목표 달성 달성률
총 가입자 수 100명 __명 __%
활성 사용자 50명 __명 __%
유료 고객 10명 __명 __%
총 매출 100만원 __원 __%
NPS (고객 만족도) 40+ __ -

Step 12-2: 성공/실패 요인 분석

잘된 점 (Keep):

  • 예: 빠른 피드백 반영으로 만족도 높음

개선할 점 (Improve):

  • 예: 마케팅 채널 다양화 필요

새로 시도할 것 (Try):

  • 예: 유튜브 튜토리얼 영상 제작

Step 12-3: 다음 90일 계획 수립

목표:

  • 유료 고객 50명
  • 월 매출 500만원
  • 주요 기능 3개 추가

실행 계획:

  1. 콘텐츠 마케팅 시작 (블로그, 유튜브)
  2. 파트너십 2개 체결
  3. 추천 프로그램 런칭

Phase 3 완료 체크리스트:

  • 첫 유료 고객 확보
  • 90일 회고 완료
  • 다음 90일 계획 수립

5. 노코드 창업 예산 플랜: 50만원으로 시작하기

단계별 예산 배분

Phase 1 (1~30일): 약 10만원

항목 금액 설명
도메인 등록 15,000원 .com 도메인 1년
랜딩페이지 툴 19,000원 Carrd Pro 1년
Google Ads 테스트 50,000원 트래픽 테스트
기타 (설문 툴) 16,000원 Typeform 등
소계 100,000원  

Phase 2 (31~60일): 약 30만원

항목 금액 설명
Bubble Starter 80,000원 1개월 구독
Airtable Pro 30,000원 1개월 구독
디자인 리소스 20,000원 아이콘, 폰트
외부 API 크레딧 50,000원 SendGrid 등
테스트 계정 충전 20,000원 결제 테스트
기타 100,000원 예비비
소계 300,000원  

Phase 3 (6190일): 약 1020만원

항목 금액 설명
마케팅 광고비 100,000원 페이스북/구글 광고
PG 수수료 변동 매출 발생 시
추가 툴 구독 50,000원 분석 툴 등
소계 150,000원  

총 예산: 약 550,000원

무료 대안으로 비용 절감

50만원 → 10만원으로 줄이는 법:

  • Bubble Starter → Bubble 무료 (제한적이지만 MVP 가능)
  • Airtable Pro → Google Sheets (무료)
  • 유료 광고 → 커뮤니티 마케팅 (무료, 시간 투자)
  • 유료 디자인 → Unsplash, Flaticon (무료)

트레이드오프:

  • 시간이 더 걸림 (90일 → 120일)
  • 일부 고급 기능 포기
  • 하지만 검증은 충분히 가능!

매출 발생 시 재투자 전략

첫 100만원 매출 시 배분:

  • 40%: 마케팅 (광고, 콘텐츠)
  • 30%: 제품 개선 (유료 툴 업그레이드)
  • 20%: 예비비 (서버, 돌발 상황)
  • 10%: 창업자 보상 (모티베이션!)

6. 단계별 노코드 툴 추천

Phase 1 (검증) 툴

용도 비용 특징
랜딩페이지 Carrd 무료~$19/년 초간단, 1페이지
설문조사 Typeform 무료 예쁜 UI
이메일 수집 Mailchimp 무료 (2,000명) 뉴스레터 발송
분석 Google Analytics 무료 필수

Phase 2 (제작) 툴

웹 앱 제작:

난이도 비용 추천 대상
Bubble ★★★☆☆ $0~$32/월 SaaS, 마켓플레이스
Webflow ★★☆☆☆ $0~$23/월 콘텐츠 사이트
Adalo ★☆☆☆☆ $0~$50/월 모바일 앱

데이터베이스:

난이도 비용 추천 대상
Airtable ★★☆☆☆ $0~$20/월 소규모 DB
Xano ★★★☆☆ $0~$25/월 대용량, API

결제:

수수료 특징
Stripe 2.9% + $0.30 글로벌 표준
토스페이먼츠 3.3% 한국 최적화

학습 리소스

무료 강의:

커뮤니티:

  • 노코드 코리아 (페이스북)
  • Indie Hackers (해외)
  • Makerlog (제품 빌딩 일지)

7. 노코드 창업 실패하는 10가지 이유

1. 검증 없이 바로 만들기

문제: 6개월 개발 → 출시 → "아무도 안 써요..."

해결: Phase 1 (검증) 반드시 거치기. 랜딩페이지 사전 판매로 수요 확인.

2. 완벽주의 함정

문제: "기능이 100개는 있어야 출시할 수 있어" → 영원히 출시 못 함

해결: MVP = 최소 기능 제품. 3개 기능이면 충분. "빠르게 출시 → 피드백 → 개선" 반복.

3. 혼자 다 하려고 함

문제: 디자인, 개발, 마케팅 전부 혼자 → 번아웃

해결: 못하는 건 외주/파트너십. 디자인은 Fiverr ($5~), 마케팅은 지분 교환 파트너.

4. 고객 피드백 무시

문제: "내가 만들고 싶은 대로 만든다" → 고객 이탈

해결: 주 1회 사용자 인터뷰. 피드백 80%는 반영.

5. 너무 넓은 타겟

문제: "모든 사람을 위한 제품" → 아무도 안 씀

해결: 좁고 구체적인 타겟. "예비 창업가" ❌ → "SaaS 창업 준비 중인 직장인" ✅

6. 무료만 고집

문제: "일단 사용자 모으고 나중에 유료화" → 수익화 실패

해결: Day 1부터 유료 플랜 제시. 무료는 "맛보기"만.

7. 마케팅 너무 늦게 시작

문제: 제품 완성 → 그제서야 마케팅 → 초기 사용자 0명

해결: Phase 1부터 커뮤니티 참여. "제작 과정"을 SNS에 공유 (Building in Public).

8. 경쟁자 무시

문제: "우리가 최초야!" → 이미 10개 경쟁자 있음

해결: 경쟁자 조사 필수. 차별점 명확히 (10% 다른 게 아니라 10배 나은).

9. 스케일링 너무 빨리

문제: 10명 쓸 때 100명 인프라 구축 → 비용 과다

해결: 100명 달성 후 스케일링 고민. 수동으로 버틸 수 있는 건 수동으로.

10. 포기가 너무 빠름/느림

문제: 2주 만에 포기 OR 2년간 집착 → 기회비용 손실

해결: 90일 단위로 판단. 지표 미달성 시 피봇 OR 중단 결정.


8. 노코드 창업 성공 사례 3가지

Case 1: Comet - 연매출 $1M

제품: 이커머스 제품 리뷰 수집 툴
창업자: 비개발자 1인

타임라인:

  • Day 1~30: 아이디어 검증 (쇼핑몰 운영자 50명 인터뷰)
  • Day 31~60: Bubble로 MVP 제작
  • Day 61~90: 첫 유료 고객 5명
  • 6개월 후: 월 $10K 매출
  • 2년 후: 연 $1M 돌파

핵심 인사이트:

  • 틈새 시장 공략 (대형 솔루션 비싼 중소 쇼핑몰 타겟)
  • 고객 성공에 집착 (1:1 온보딩)
  • 입소문 마케팅 (추천 시 양쪽 모두 할인)

Case 2: Dividend Finance - 기업가치 $1B

제품: 태양광 패널 금융 플랫폼
창업자: 비개발자 공동창업 2명

타임라인:

  • 초기: Webflow 랜딩페이지로 리드 수집
  • 6개월: 수동 프로세스로 첫 고객 100명
  • 1년: Airtable + Zapier로 자동화
  • 3년: 본격 개발팀 구성
  • 5년: 유니콘 기업

핵심 인사이트:

  • 노코드로 PMF (Product-Market Fit) 검증
  • 수익 나면 그때 본격 개발
  • 초기엔 "Fake it till you make it"

Case 3: Teal - $5M 투자 유치

제품: 이력서 & 커리어 관리 툴
창업자: 디자이너 출신

타임라인:

  • Day 1~90: Webflow + Airtable로 MVP
  • 6개월: 사용자 10,000명
  • 1년: Seed 라운드 $5M 투자 유치
  • 현재: 노코드 그대로 운영 중

핵심 인사이트:

  • 노코드 = 한계 아님, 선택
  • 빠른 실험 > 완벽한 코드
  • 투자자들도 "작동하는 제품" 중시

9. FAQ: 자주 묻는 질문 10가지

Q1. 코딩을 전혀 모르는데 정말 가능한가요?

A. 네, 가능합니다! 이 글에 소개된 도구들은 드래그&드롭만으로 작동합니다. 기본적인 논리적 사고 (IF-THEN)는 필요하지만, 엑셀 쓸 줄 아시면 충분합니다.

Q2. 90일은 너무 빠른 거 아닌가요?

A. 풀타임 기준입니다. 직장인이라면 120~150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검증 → 제작 → 런칭" 순서를 지키는 것입니다.

Q3. 혼자서도 할 수 있나요?

A. Phase 1~2는 혼자 가능합니다. Phase 3 (마케팅)에서 파트너가 있으면 더 좋지만, 커뮤니티 활용하면 1인도 충분합니다.

Q4. 실패하면 어떡하죠?

A. 노코드 창업의 장점은 "낮은 실패 비용"입니다. 50만원 손실은 아프지만 회복 가능합니다. 경험은 다음 창업에 활용하세요. 실패가 아니라 학습입니다.

Q5. 노코드로 만든 제품은 느리지 않나요?

A. 초기 사용자 1,000명까지는 문제없습니다. 10,000명 이상부터 최적화 필요할 수 있으나, 그때 가서 본격 개발 전환해도 늦지 않습니다.

Q6. 투자 받을 수 있나요?

A. 네! Teal은 노코드로 $5M 투자 받았습니다. 투자자는 "코드"가 아니라 "시장 검증"과 "성장 지표"를 봅니다. MVP + 트랙션이면 충분합니다.

Q7. 어떤 아이디어가 노코드에 적합한가요?

A. B2B SaaS, 커뮤니티, 마켓플레이스, 간단한 모바일 앱 등 대부분 가능합니다.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대용량 파일 처리 등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Q8. 예산이 50만원도 없는데요?

A. 무료 툴로 시작하세요. Bubble 무료, Google Sheets, 커뮤니티 마케팅으로 10만원 이내 가능합니다. 시간이 더 걸릴 뿐입니다.

Q9. B2C vs B2B 어떤 게 쉬운가요?

A. 노코드 초보라면 B2B가 더 쉽습니다. 고객 수는 적지만 단가 높고, 마케팅도 LinkedIn 등 채널이 명확합니다.

Q10. 다음 단계는 뭐죠? (90일 이후)

A.

  • 옵션 1: 노코드 그대로 스케일업 (Teal 사례)
  • 옵션 2: 본격 개발 전환 (Dividend Finance 사례)
  • 옵션 3: 다른 아이디어로 피봇

판단 기준: 월 매출 500만원 이상 → 옵션 2 고려


🎯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당신의 90일 여정

오늘 이 글을 읽은 것이 Day 0입니다.

내일부터 90일 후면:

  • ✅ 실제 고객이 돈 내고 쓰는 제품이 생깁니다
  • ✅ "아이디어만 있는 사람"에서 "제품을 만든 창업자"가 됩니다
  • ✅ 부수입 월 100만원 또는 그 이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었다면, 이제 실행만 남았습니다.

오늘 당장 할 수 있는 3가지

Step 1 (10분):
종이에 "내가 해결하고 싶은 문제" 3가지 적기. 그 중 1가지 선택.

Step 2 (30분):
타겟 고객 페르소나 작성 (이름, 나이, 불편한 점). Google에서 경쟁자 3개 찾기.

Step 3 (1시간):
주변 사람 1명에게 인터뷰 (10분 질문 템플릿 사용). 노션에 "90일 창업 프로젝트" 페이지 만들기.

이 3가지만 하면, Day 1을 시작한 겁니다.


마지막 당부

완벽을 기다리지 마세요.
당신의 MVP는 완벽하지 않을 겁니다.
처음 고객은 불편함을 이야기할 겁니다.
그게 정상입니다.

중요한 건 "시작"입니다.

90일 후, 여기 댓글로 성과 공유해주세요.
응원하겠습니다! 🚀


다음 글 예고:
다음 주에는 "Bubble 완벽 마스터: 30일 만에 웹앱 만들기"를 발행합니다. 구독하고 알림 받으세요!


관련 글:

태그: #노코드창업 #MVP만들기 #개발자없이창업 #사이드프로젝트 #SaaS만들기 #Bubble #90일챌린지 #스타트업

반응형